QRMA TM
The first brand manufacturers of quantum resonance magnetic analyzer.
Search

Korea element of human quantum resonance magnetic analyzer report

Author:QRMA  UpdateTime:2015-07-05

From Element of Human quantum resonance magnetic body health analyzer,we can easiliy know our overall health status,the Element of human contains 1.The componential analysis of body
2.Fat analysis 3.Nourishment  4.Integrated Assessment  5.Weight control  6.Body form Assessment

(신체성분)분석 보고서

이름: 예(남) 성별: 남 나이: 36
체형: 표준 체중(175cm£¬70kg) 검사측정 시간: 2013-05-09 22:09

 
1. 유기체요소분석
요소분류 측량값 신체수분함량 근육량 지방제거체중 체중
(1)세포내액(L) 16  
(2)세포외액(L) 8.2 (6)신체수분함량=(1)+(2)=24.1
(3)단백질(Kg) 6.32   (7)근육량=(6)+(3)=30.5
(4)무기질(Kg) 25.2     (8)지방제거체중=(7)+(4)=55.7
(5)체지방(Kg) 14.4  (9)체중=(8)+(5)=70
 
2. 지방 분석
 
성질 저 표준 표준 표준 초과
  | | | | | | | | | |
  80% 85% 90% 95% 100% 105% 110% 115% 120% 125%
¢Ù 신장(Cm)  175cm
 
  설명:아시아인 성인 남성의 평균 신장은 169cm, 성인 여성의 평균 신장은 158cm이다.
  인체 표준 신장 예측공식(유전법칙)
    남성 신장=(부친의 신장+모친의 신장)×1.08÷2(cm)
    여성 신장=(부친의 신장×0.923+모친의 신장)÷2(cm)
 
 
성질 저 표준 표준 표준 초과
  | | | | | | | | | |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Ú 체중(Kg)  70kg
 
  설명:인간의 표준 체중 계산방법은 아래와 같은 두 가지가 있다.
      1.일본학자가 제출한 아시아인의 신장에 따른 표준체중 계산공식, ¢Ù표준 체중Kg£½(신장cm£­100)×0.9
    2.세계위생조직의 표준체중 계산방법, ¢Ú 남성: (신장cm£­80)×70%, 여성: (신장cm£­70)×60%.
 
 
성질 저 표준 표준 표준 초과
  | | | | | | | | | |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Û 근육 무게  30.5Kg
 
  설명:일반인의 근육은 체중의 35%~45%를 차지한다. 근육량이 규정된 무게를 초과한다고 하여 단순하게 근육량을 줄이는 것이 아닌, 신체 내 지방무게를 근육무게로 전화시켜야 한다. 근육량이 증가되면 기초 대사량도 상승하기 때문이다. 기초 대사량은 체온, 호흡과 혈액순환 등 신체의 기본 기능 유지 시 반드시 소모해야 하는 에너지이다. 근육량이 증가될 경우, 기초대사도 상승하기에 신체가 안정상태에 처하여 있어도 지방을 연소할 수 있어 살 찌는 신체를 형성하지 않는다. 때문에 기초 대사가 상승할 경우, 식사량이 과거와 같다고 하여도 지방은 점차 줄어든다. 때문에 우선 먼저 자체 신체의 근육량을 증가시켜 기초 대사량을 상승시켜야만 살을 빼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근육파워를 단련하려면 유산소운동을 많이 해야 한다.
 
 
성질 저 표준 표준 표준 초과
  | | | | | | | | | |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Ü 체지방함량  14.4Kg
 
  설명:정상적인 건강한 인체의 지방함량은 남성은 체중의 14%~20%, 여성은 체중의 17%~24%를 차지한다.
 
 
성질 저 표준 표준 표준 초과
  | | | | | | | | | |
  5% 8% 11% 14% 17% 20% 23% 26% 29% 30%
¢Ý 체지방백분율  20.5%
 
  설명:체지방백분율은 신체지방함량과 체중의 비율을 가리킨다. 
남자의 정상적인 지방함량 비율은 14~20%이고, 20%~25%이면 표준을 초과한 것으로 되며 >25%이면 비만이다. 
여성의 정상적인 지방함량은 17%~24%이고, 25%~30%이면 표준을 초과한 것으로 되며 >30%이면 비만이다.
 
 
성질 저 표준 표준 표준 초과
  | | | | | | | | | |
  0.65 0.70 0.75 0.80 0.85 0.90 0.95 1.00 1.05 1.10
¢Þ 복부지방비율  0.84
 
  설명:이것은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비율'(WHR)이라고도 부르며 허리둘레와 신장의 비율을 가리킨다.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비율(WHR)=W(cm)/H(cm).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비율 정상 허리형 비만 엉덩이형 비만
남성 <0.9 >1.0 <1.0
여성 <0.8 >0.85 <0.85
 
3. 영양판단
영양판단
비만수준(ODB) 105%
신체품질매개변수(BMI) 22.9 Kg/M2
기초 대사(BMR) 1655 kcal
신체 세포수량(BCM) 22.32 Kg
 
  BMI-신체품질매개변수는 인체지수라고도 부르며 아시아인의 표준에 의하여 아래와 같이 나눈다.
저 표준 체중 표준 표준초과체중 비만 전기 비만1급 비만2급 비만3급
<18.5 18.5~22.9 ≥23 23~24.9 25~29.9 >30 ≥40
 
  BMR-기초 대사(단위: 칼로리)
      기초 대사는 기초 상태에서의 인체 에너지 대사를 가리킨다. 기초 상태는 인간의 정신이 또렷하면서도 매우 안정하며 근육활동, 환경온도, 식물, 정신긴장 등 요소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경우의 상태를 가리킨다. 단위시간 내의 기초대사는 기초 대사율이라고 부른다. 즉 시간당 1©O 체표가 발산하는 열량을 가리킨다. 정상 수치의 15%를 초과하지 않거나 또는 낮지 않으면 모두 정상에 속한다. 기초 대사율의 측정은 임상에서 갑상선질병을 진단하는 주요 보조방법이며 갑상선기능 항진 시, 기초 대사율은 뚜렷하게 상승하고 갑상선기능이 떨어질 경우, 기초 대사율은 현저하게 내려간다. 기초 대사율은 살을 빼는데 매우 큰 영향을 준다. 하루 적정의 운동은 신체의 기초 대사율을 상승시켜 주는 것에 반해, 음식을 줄이는 것은(극단적인 것은 단식) 기초 대사율이 내려가게 한다. 성별, 연령, 신장과 체중을 통해 대략 기초 대사율을 계산해낼 수 있다. 기초 대사율과 운동강도별 에너지 대사율을 측정하는 것은 합리적으로 영향표준을 제정하고 식단을 짤 수 있는 근거로 된다.
 
4. 종합 평가
종합 평가
근육유형   저 중량 표준 고 중량
저 근육형      
보통형    
근육형      
영향상황   부족 정상 높음
단백질    
지방질    
무기염    
상하균형   발달 표준 비 발달
   
다리    
좌우균형   균형 비 균형  
   
다리    
 
5. 무게 컨트롤
무게 컨트롤
목표체중 66.5 Kg
체중 컨트롤 -3.5 Kg
지방 컨트롤 -3.5 Kg
근육 컨트롤 0 Kg
 
  ¢Ù 목표체중: 신장에 의한 표준체중.
  ¢Ú 체중 컨트롤: 개선할 체중을 가리키며 얻은 값이 '-'이면 줄여야 함을 표시하고 '+'이면 추가해야 함을 표시한다.
  ¢Û 지방 컨트롤: 개선해야 할 신체 내의 지방무게를 가리킨다. 얻은 값이'-'이면 줄여야 함을 표시하고(유산소운동을 하여 신진대사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동시에 근육파워를 한 단계 끌어 올려야 함) '+'이면 추가해야 함을 표시한다.
  ¢Ü 근육 컨트롤: 신장에 따른 표준 근육무게를 가리킨다.
 
6. 건강평가
 
건강평가£º81 점
 
표준 설명: 60점 이상이면 합격이고, 90점 이상이면 우가 된다.

 
본 검사측정 결과는 참조용으로만 하며, 진단 결론으로 사용하지 못함.

Views:  [Printing]  [Close]    

This article is provide from [Quantum analyzer],please indicate the source address reprinted:http://www.quantumresonancemagneticanalyzer.com/quantum-resonance-magnetic-analyzer-reports/1226.html